아이고 로고 Aigooh Logo

끝이 없는 AI때문에 아이고..

AI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 완벽 가이드: 🍯꿀팁 대방출!

안녕하세요, 아이고입니다. 😄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AI 이미지 생성의 핵심, 바로 프롬프트 작성법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려고 해요. AI로 그림을 그릴 때 “대체 어떻게 입력해야 원하는 그림이 나오는 거야?” 하고 막막했던 경험, 다들 한 번쯤 있으시죠? 이제 걱정 마세요! 오늘 이 글을 통해 여러분도 프롬프트 마스터가 될 수 있답니다. ✨

그동안 모아모아온 프롬프트의 기본 원리와 실전 팁까지 쉽고 재미있게 풀어드릴게요. AI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의 세계로 함께 빠져보시죠!


🤖 AI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가 왜 중요할까요?

AI 이미지 생성은 마치 마법과 같아요. 우리가 머릿속으로 상상하는 이미지를 AI에게 말하면, AI가 뚝딱하고 그림으로 만들어주죠. 이때 AI에게 "이렇게 그려줘!" 하고 말하는 것이 바로 프롬프트 (Prompt) 랍니다. 프롬프트를 어떻게 작성하느냐에 따라 결과물의 퀄리티가 하늘과 땅 차이로 달라지기 때문에, 프롬프트 작성법을 이해하는 것은 정말 중요해요.

단순히 특정 프로그램을 클릭하며 따라 하는 방식보다는, 프롬프트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해요. 원리를 알면 어떤 A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든, 어떤 이미지를 만들고 싶든 능숙하게 대처할 수 있기 때문이죠. 자, 그럼 이제부터 그 원리를 함께 파헤쳐 볼까요?

💬 프롬프트, 도대체 뭘까요? AI는 어떻게 이해할까요?

가장 쉽게 말해, 지금 여기서 우리가 말하는 프롬프트는 AI에게 “우리가 원하는 이미지를 보여달라고 말하는 것”이에요.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AI는 우리가 작성한 프롬프트를 특별한 방식으로 이해한답니다.

🗣️ AI의 언어, 토큰 (Token)

우리가 프롬프트에 단어와 문장들을 쭉 입력하면, AI는 먼저 이 단어들을 토큰 (Token) 이라는 단위로 쪼개서 인식한답니다. 예를 들어 "커피숍에 있는 남자, 고품질, 고해상도 (a man in a coffee shop, high quality, high resolution)" 라는 프롬프트가 있다면, '남자','커피숍','고품질','고해상도' 와 같이 쪼개져서 토큰이 되는 거죠. 이 토큰들은 AI가 학습한 방대한 데이터 속에서 특정 패턴과 연결된답니다.

cafe image

👾 잠재 공간 (Latent Space) 속 점 잇기 놀이

AI가 이미지를 생성하는 과정은 “3차원 데이터 맵 (Latent Space, 잠재 공간)” 에서 AI가 점들을 이어 그림을 그리는 “점 잇기 놀이” 에 비유됩니다. AI는 무작위의 노이즈(점들이 흩어져 있는 상태)에서 시작해서, 우리가 입력한 프롬프트(토큰)를 바탕으로 점들을 연결하며 점차 의미 있는 형태를 만들어나가는 거예요.

AI 모델은 수백만, 수십억 개의 이미지와 그 이미지에 대한 설명(캡션)을 학습해요. 이 과정에서 AI는 특정 단어(토큰)들이 어떤 시각적 패턴과 연관되는지 이해하게 되죠. 예를 들어 '강아지'라는 토큰은 털, 귀, 꼬리 등의 패턴과 연결되고, '슬라임'이라는 토큰은 끈적하고 흘러내리는 질감의 패턴과 연결되는 거예요.

강아지와 슬라임 그림

📝 프롬프트 작성의 핵심 원리

자, 이제 프롬프트가 무엇인지 감이 좀 오시죠? 그럼 프롬프트 작성의 핵심 원리들을 살펴볼까요?

👌🏼 원하는 것을 명확하게! 긍정 프롬프트부정 프롬프트 활용하기

AI에게 이미지를 요청할 때는 긍정 프롬프트 (Positive Prompt)부정 프롬프트 (Negative Prompt) 를 활용하는 것이 중요해요.

  • 긍정 프롬프트
    • 여러분이 이미지에서 보고 싶은 모든 것을 적는 곳이에요.
    • 주제, 스타일, 아티스트 이름, 구도, 색감, 분위기 등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 부정 프롬프트
    • 이미지에서 보고 싶지 않은 요소를 적는 곳이에요.
    • 워터마크(watermark), 낮은 품질(low quality), 흐릿함(blurry), 추한(ugly), 잘린(cropped) 등을 입력해서 원치 않는 결과물을 피할 수 있답니다.

✌️ 두 가지 주요 프롬프트 스타일: 언제 무엇을 쓸까?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스타일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고 해요. 바로 BLIP 스타일Waifu Diffusion 스타일인데요, 상황에 따라 적절한 스타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답니다.

💬 BLIP 스타일 : 자연스러운 문장형

BLIP 스타일은 마치 우리가 사람에게 말하듯이 자연스러운 문장 형태로 프롬프트를 작성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면 "두 손으로 곰 인형을 들고있는 여자아이 사진 (a photo of a girl who holds a teddybear with two hands"처럼요. 이 방식은 특히 사실적이거나 일반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때 유용해요.

🔤 Waifu Diffusion 스타일 : 키워드 나열형

Waifu Diffusion 스타일은 문장보다는 단어나 구문을 쉼표(,)로 구분하여 나열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여자 한명, 카메라 바라봄, 흰색 짧은 머리, 옅은 미소, 해변에 서 있음, 안이 비치는 흰색 블라우스, 강렬하고 선명한 색상의 수영복 (1woman, looking at viewer, short white hair, faint smile, standing on the beach, white blouse with see-through, swimsuit with strong and vivid colors)”처럼요. 이 방식은 주로 애니메이션이나 특정 스타일이 강조된 이미지를 생성할 때 효과적이랍니다.

일반적으로 애니메이션 스타일 모델Waifu Diffusion 스타일 프롬프트에, 사실적인 3D나 판타지 스타일 모델BLIP 스타일 프롬프트에 더 잘 반응하는 경향이 있다고 해요. 물론, 모델에 따라 다르니 직접 테스트해보는 것이 가장 좋겠죠? 😉

💪🏼 핵심 키워드 다시 강조하기, 가중치괄호 활용법

프롬프트에서 특정 키워드를 더 강조하고 싶을 때는 괄호 () 를 사용할 수 있어요. 괄호로 묶인 키워드는 AI가 더 중요하게 인식한답니다.

더 나아가, 괄호 안에 콜론 : 과 함께 숫자를 넣어 가중치를 조절할 수도 있어요. 예를 들어 (simpsons:1.4) 와 같이 입력하면 simpsons라는 키워드의 영향력을 1.4배로 높이는 거죠. 반대로 가중치를 1보다 낮게 주면 해당 키워드의 영향력을 줄일 수도 있답니다. (예: (donuts:0.5))

  • 팁! 여러 개의 괄호를 중첩해서 (((키워드))) 와 같이 사용하면 강조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어요.

📈 이미지 퀄리티를 UP! 실전 프롬프트 설정 팁

프롬프트 내용뿐만 아니라, AI 이미지 생성 도구의 다양한 설정값을 조절하는 것도 중요해요. 주요 설정들을 알아볼까요?

🎨 샘플링 방법 (Sampling Method) : 그림체의 마법사

샘플링 방법 (Sampling method)은 이미지의 전체적인 스타일과 분위기에 큰 영향을 미쳐요. 마치 화가가 다양한 붓 터치 기법을 사용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된답니다.

  • Euler: 부드럽고 약간 흐릿한 느낌을 주며, 초보자가 사용하기 좋아요.
  • DPM++ SDE / DPM++ 2M SDE: 디테일이 풍부하고 선명한 이미지를 생성하며, 많은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방식이에요.
  • DDIM: 빠르고 안정적이지만, 때로는 디테일이 부족할 수 있어요.

다양한 샘플링 방법을 테스트해보면서 여러분의 프롬프트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을 찾아보세요!

🫡 CFG 스케일 (CFG Scale) : 프롬프트 충실도 조절하기

CFG 스케일 (Classifier-Free Guidance Scale)은 AI가 여러분의 프롬프트를 얼마나 충실하게 따를지를 결정하는 값이에요.

  • 낮은 값 (예: 3~6)
    • AI가 프롬프트에서 벗어나 좀 더 창의적인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지만, 때로는 엉뚱한 결과가 나올 수도 있어요.
    • 이미지가 너무 흐릿하거나 형체가 불분명하게 나올 수 있답니다.
  • 높은 값 (예: 7~12)
    • AI가 프롬프트를 매우 정확하게 따르려고 하지만, 이미지가 너무 딱딱하거나 부자연스러워질 수 있어요.
  • 적정 값
    • 보통 7~10, 5.5~8 사이 값을 추천해요. 이 역시 직접 테스트하며 자신에게 맞는 최적 값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샘플링 스텝 (Sampling Steps) : 그림의 디테일!

샘플링 스텝 (Sampling steps) 은 AI가 이미지를 얼마나 여러 단계를 거쳐 정교하게 다듬을지를 결정해요. 스텝 수가 높을수록 더 많은 시간을 들여 디테일을 살리지만, 무조건 높다고 좋은 것만은 아니랍니다.

  • Euler, DDIM: 보통 20~30 스텝 정도면 충분한 퀄리티를 얻을 수 있어요.
  • DPM++: 더 높은 스텝(예: 30~50 이상)에서 좋은 결과를 보여주는 경우가 많아요.

너무 많은 스텝은 오히려 이미지 품질을 저하시키거나 생성 시간만 오래 걸리게 할 수 있으니, 적절한 값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

🌱 시드 (Seed) : 일관성과 다양성의 열쇠

시드 (Seed) 값은 이미지 생성 시 사용되는 초기 노이즈 패턴을 결정해요.

  • 랜덤 시드 (-1 또는 주사위 아이콘): 매번 다른 값을 사용해서, 새로운 결과 이미지를 만들어요. 다양한 아이디어를 탐색할 때 유용하답니다.
  • 고정 시드 (특정 숫자 입력 또는 재활용 아이콘): 동일한 초기 노이즈 값을 사용해서, 같은 프롬프트와 설정값으로 항상 동일한 (또는 매우 유사한) 이미지를 만들어내요. 이미지의 특정 부분을 수정하거나 일관된 스타일을 유지하고 싶을 때 유용하죠.

마음에 드는 이미지가 나왔다면, 그 이미지의 시드 값을 저장(고정)해두고, 프롬프트나 다른 설정을 조금씩 바꿔가며 원하는 결과물을 만들어보세요!

Prompt

🕺🏼 어떤 모델을 선택해야 할까요?

프롬프트 작성 능력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어떤 AI 모델을 사용하느냐 하는 것이에요. 모델마다 학습한 데이터와 특성이 다르기 때문에, 여러분이 원하는 이미지 스타일에 맞는 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답니다.

Civitai 같은 웹사이트에서는 정말 다양한 스타일의 모델들을 만나볼 수 있어요.

  • Rev Animated: 다양한 일러스트 스타일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모델
  • Counterfeit-V3.0: 고품질 애니메이션 아트에 특화된 모델
  • Realistic Vision, CyberRealistic, Epic …: 매우 사실적인 사진 스타일 이미지를 생성하는 모델

많은 모델이 존재하는 만큼, 다양한 모델을 직접 사용해보고, 각 모델의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요. 커뮤니티 갤러리에 등록되는 이미지들을 구경하면서, 다른 사람들은 어떤 모델, 프롬프트로 이미지를 만들었는지 참고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결국 프롬프트 잘 쓰기는 연습 또 연습

오늘은 AI 이미지 생성 프롬프트를 어떻게하면 좀 더 잘 쓸수 있을까?에 대한 답을 알아봤습니다. 어떠셨나요? 조금은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꾸준히 연습한다면, 우리도 분명 멋진 AI 아트를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오늘 나왔던 핵심 내용을 다시 한번 정리해 볼까요?

  • 프롬프트는 AI에게 보내는 명확한 지시 사항 : 긍정/부정 프롬프트, 괄호와 키워드 가중치 값 잘 활용하기.
  • 상황에 맞는 프롬프트 스타일 선택 : BLIP 스타일 vs Waifu Diffusion 스타일
  • 샘플링 방식, CFG, 샘플링 스텝, 시드 값 이해하기 :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고, 이것저것 바꿔보기.
  • 다양한 모델 탐색, 내 스타일에 맞는 모델 찾기 : 많은 모델중 내가 원하는 모델을 찾아보기.

가장 중요한 핵심 중 핵심은, 이것저것 다양한 시도를 하고 체험 하는 것 이에요. 여러 가지 프롬프트를 작성해보고, 설정값을 바꿔보고, 다양한 모델을 사용해보면서 자신만의 노하우를 쌓아가세요. 😄

이 글이 여러분의 AI 아트 여정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또 다시 재미있는 AI 정보로 찾아뵐게요! 😉